테라와다/테라와다란
팔리 3장의 분류 -율장(律藏 Vinaya Pitaka)
Dhammarakkhita
2012. 3. 4. 00:26
율장(律藏 Vinaya Pitaka) : 승단(Sangha)을 위한 계율 규정.팔리 3장의 분류
삼장(三藏 Tipitaka) 마성 지음 -------------------------------------------------------------------------------- 팔리정전(巴利正典) 혹은 삼장(三藏)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진다. 삼장(Tipitaka, Sk. tripitaka)이란 세 가지(ti) 광주리(pitaka)라는 의미이다.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A) 율장(律藏 Vinaya Pitaka) : 승단(Sangha)을 위한 계율 규정. (B) 경장(經藏 Sutta Pitaka) : 교법(법). (C) 논장(論藏 Abhidhamma Pitaka) : 경장에 설해진 법의 철학적 논의. -------------------------------------------------------------------------------- A. 율장(律藏 Vinaya Pitaka) -- 승단(Sangha)을 위한 계율 규정 -- 삼장의 세 가지 주된 분류 가운데 첫 번째는 비구와 비구니 승단을 통제하는 계율의 규정과 관계가 있다. 율장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첫 번째 부분은 비구를 위한 계율과 비구니를 위한 계율로 다시 나누어져 있다. 그런데 두 번째 부분은 대품(大品)과 소품(小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번째 부분(후대의 補遺篇)은 부록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전체 율장의 개요다. 1. 경분별(經分別 Suttavibhanga). 2. 건도(건度 Khandhaka). (1) 대품(大品 Mahavagga). (2) 소품(小品 Cullavagga. 3. 부수(附隨 Parivara). 1. 경분별(經分別 Suttavibhanga) 위반의 여덟 가지 등급을 다룬 비구를 위한 227가지 계율이다. 즉 범하면 승단에서 추방되는 네 가지 계율(四波羅夷法 parajika)이다. 이것은 성교(性交), 절도(竊盜), 살생(殺人) 및 자살하도록 다른 사람을 부추기는 것, 비범한 학식[깨달음]을 얻었다고 거짓으로 자랑하는 것이다. 승단의 처음과 그 다음의 모임이 수반되는 열세가지 계율(十三僧殘法 Sanghadisesa). 두 가지 정해지지 않은 계율(二不定法 aniyata). 실권(失權)과 함께 참회가 수반되는 서른가지 계율(三十捨墮法 nissaggiya pacittiya). 참회가 수반되는 구십 두 가지 계율(九十二波逸提 pacittiya). 참회가 요구되는 네 가지 계율(四提舍尼法 patidesaniya). 훈련의 칠십 다섯 가지 계율(七十五衆學法 sekhiya). 법률상 소송절차의 결정을 위한 일곱 가지 계율(七滅諍法 adhikaranasamatha). 이 부분은 비구니를 위한 유사한 지침인 비구니분별(比丘尼分別 Bhikkhuni-vibhanga)이 이어져 있다. 2. 건도(건度 Khandhaka) 건도는 다시 대품(大品 Mahavagga)과 소품(小品 Cullavagga)으로 나뉘어져 있다. (a) 대품(大品 Mahavagga) 1. 승단 입단을 위한 규정(受戒篇). 2. 포살의 모임과 계본(戒本 Patimokkha)의 암송(布薩篇). 3. 우기(雨期) 동안의 체재(安居篇). 4. 안거를 끝내는 의식(自恣篇). 5. 의류와 가구를 위한 규정(皮革篇). 6. 의약과 음식(藥劑篇). 7. 한 해 한번씩의 가사 분배(迦眜那衣篇). 8. 병든 비구. 수면 및 가사 재료를 위한 규정(法衣篇). 9. 승단에 의해서 집행한 소송절차의 방법(瞻波篇). 10. 분열의 경우 소송절차.(拘晢彌篇). (b) 소품(小品 Cullavagga) 1. 승단에 보고된 계율 위반을 다루기 위한 규정(厘磨篇). 2. 승단에 보고된 계율 위반을 다루기 위한 규정(別住篇). 3. 비구의 복권(罪集篇). 4. 분쟁을 다루기 위한 규정(滅諍篇). 5. 목욕, 의복 등을 위한 잡다한 규정(小事篇). 6. 주거, 가구, 숙박 등(坐臥處篇). 7. 분열(破僧篇). 8. 비구의 등급, 스승과 사미의 의무(法篇). 9. 계본으로부터 배제(遮篇). 10. 비구니의 구족계와 교육(比丘尼篇). 11. 라자가하(Rajagaha 王舍城)에서의 제일결집에 대한 기술(五百人結集 篇). 12. 베살리(Vesali 毘舍離)에서의 제이결집에 대한 기술(七百人結集 篇). 3. 부수(附隨 Parivara) 교육과 시험을 목적으로 교리 문답의 방식으로 마련된 율장의 계율의 개요와 분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