修行/수행은 왜

알아차림 수행의 이득, (U Kundalabhivamsa Sayadaw)

Dhammarakkhita 2012. 11. 15. 00:12

어떤 수행자가 1초에 한 번의 알아차림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그는 1분에 60번의 알아차림을 유지할 수 있고, 한 시간에는 3,600번의 알아차림이 가능하다.

그 수행자의 모든 알아차림은 자신의 마음의 과정 안에서 결코 낭비되거나 소진되지 않는다.
그의 위빠사나 수행의 힘은 닙바나에 이를 때까지 축적될 것이다
.

(복부)의 일어나고 꺼지는 것을 알아차릴 때는 다음과 같은 것이 일어나게 된다.
배가 일어나는 것을 알아차리는 순간, 거기에 탐심(lobha)이 나타날 수 있는 기회가 없다
(
탐심은 정신적인 의식으로 다른 형태를 갈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탐심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탐심에 의해 야기되는 집착(upadana) 역시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집착에 의해 야기되는 모든 업(kamma)은 소멸되게 된다.
그러므로 존재(bhava)는 생성될 수 없게 된다.

 

늙음의 고통(dukkha), 병듦의 고통, 근심의 고통과 죽음의 고통,

이 모든 윤회의 고통(samsara)이 중단되게 된다.
, 한 시간의 수행 동안 수행자는 3,600번의 존재를 제거하게 된 것이다.

만약 수행자가 한 시간 동안 좌선을 한다면,
비록 그의 집중력이 충분치 않아, 어떠한 이득도 알아차리지 못하였다 할지라도,
그는 자신이 3,600번의 미래의 존재의 가능성을 소멸시켰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윤회의 기간은 짧아지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