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로움과 괴로움의 소멸(아신 자나까 비왐사 괴로움과 괴로움의 소멸(아신 자나까 비왐사) 괴로움의 고유한 특성을 깨닫기 전까지는 계속적으로 괴로움과 자신을 동일시 합니다 예를 들어 좌선수행중 다리에 통증이 오면 내다리가 아프다 라고 생각하고 등이 아프면 내등이 아프다 고 생각합니다. 즉 다리나 등에서 일어나는 통증.. 四聖帝/苦 2012.12.08
5분간의 집중으로 단 5분간의 집중으로 만약 그대가 단5분간만이라도 집중한다면 아주 근본적인 몇가지 법칙(dhamma)을 알게 된다. 그 무엇이든 변하고 그 어느것도 안정적이지 않으며 아무런 관계없이 감각들이 왔다가 가고 그것이 조건적이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그대가 그렇게 하기 때문이거나 그렇.. 四聖帝/苦 2012.12.08
괴로움이 일어날 때마다 경책- 사성제 아잔푸앙 괴로움이 일어날 때마다 그대자신에게 이렇게 말하십시오 내가 여전히 괴로움을 느끼는 것은 여전히 나라는 것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 몸과 일어나는 생각과 느낌들을 나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四聖帝/苦 2012.12.08
윤회-生死의 반복 윤회-生死의 반복 비구들이여, 이 윤회는 그 처음을 알 수가 없다. 최초의 시간은 알려질 수 없다. 무명에 의해 뒤덮여 있고, 갈망에 의해 속박되어 있는 중생들은 이 생사의 세계에서 이리저리 헤매이며 삶과 죽음을 되풀이한다. [* 윤회(sa.msaara)-존재의 수레바퀴, 어원적인 의미는 '끊임.. 四聖帝/苦 2012.12.06
세 가지 경고 세 가지 경고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이 세상에서 80세, 90세, 100세가 된 남자나 여자들을. 허약하고 허리는 지붕처럼 아래로 굽어 있고, 지팡이에 의지해서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한 걸음을 걷고, 젊은이의 기운이 없어진지는 벌써 오래된, 이는 빠져 버렸고, 백발이 성성한 머리도 드문드.. 四聖帝/苦 2012.12.06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의 정의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의 정의 비구들이여,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란 무엇인가. 태어남[生]은 괴로움이며, 늙음[老]도 괴로움이며, 죽음[死]도 괴로움이며, 슬픔, 비탄, 통증, 비애 그리고 절망도 괴로움이며,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求不得苦]이며, 싫어하는 대상과 만나는 것.. 四聖帝/苦 2012.12.06
고’라는 성스러운 진리-프란시스 스토리 지음|재연스님 옮김 ‘고’라는 성스러운 진리 [苦聖諦 Dukkha Ariya Sacca] 부처님께서는 이 첫 번째 진리를 다음과 같은 말씀으로 정형화시키셨으며, 이 정형구는 불교 경전 속에 시종 반복되고 있다. “비구들이여, ‘고(苦)’라는 성스러운 진리란 무엇인가? 태어남이 고다. 노쇠가 고다. 죽음이 고다. 슬픔̶.. 四聖帝/苦 2012.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