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 아무 것도 걱정하지 마십시오.
여러분! 자신에게 닥친 일을 걱정하지 마십시오. 다만 걱정하는 마음을 알아차리십시오. 모두 올 것이 온 것이며 갈 것이 간 것입니다. 지금 걱정을 한다고 해서 지금 닥친 일이 해결되지 않습니다. 모두 자신이 행한 대로, 자신의 마음 씀씀이에 따라 결과를 받은 것입니다. 평소에 얼마나 관용, 자애, 지혜의 마음으로 행동했는가에 따라, 또 얼마나 탐욕, 성냄, 어리석은 마음을 가지고 행동했느냐에 따라 꼭 그만큼의 결과를 받은 것입니다.
우리는 자기 수준만큼 생각하고, 그 수준만큼 행동하며, 행동한 것에 따른 결과는 필연적으로 따라다닌다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그러나 지금 경험하는 그 어떤 결과도 영원하지 않습니다. 지금 다시 어떤 마음가짐으로 행동하는가에 따라 새로운 결과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세상의 일도 그 세상을 구성하는 사람들의 마음과 행위에 따라 그만큼의 결과를 받고 발전하거나 퇴보하며 흘러갑니다. 그러므로 세상의 어떤 일도 걱정하지 마십시오.
지금 걱정을 한다고 해서 세상의 문제들이 풀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지금 걱정을 한다고 해서 자신이 일이나 세상의 일이 잘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걱정을 해서 될 일도 되지 않습니다. 걱정하는 마음은 바라고 성내는 마음이라서 자신을 괴롭히는 마음이며, 이런 마음은 다시 바른 행위보다 괴로운 결과를 불러오는 행위를 하게 합니다.
우리는 다만 현재의 근심하고 걱정하는 마음을 알아차리고 몸으로 돌아와 알아차림을 이어가야 합니다. 그러면 근심걱정거리는 올만해서 온 법이라고 이해하고 받아들여집니다. 그럴 때 마음이 안정되어 바르고 지혜로운 생각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지혜로 말하고 행동하게 되면 이것이 근심걱정거리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세상의 모든 일은 우리들의 마음이 투사해서 일어납니다. 그러므로 공연히 걱정을 해서 일을 그르치지 말아야합니다. 이제 쓸데없이 걱정하는 일로 시간을 낭비하지 마십시오. 항상 모든 일을 원인과 결과로, 편안한 마음으로, 세상을 보면 세상은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세상의 모든 일이 그럴만해서 그런 것인데 이제 와서 무엇을 걱정하고 무엇을 두려워하겠습니까? 이미 온 것은 받아들이고 지금부터 다시 바르게 시작하면 됩니다.
지금은 다만 자신이 근심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현재를 인과로 받아들이십시오. 그러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그래야 지금 자신이 여기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를 알게 됩니다. 그때 그 일을 실천하면 됩니다. 이처럼 언제나 깨어서 현재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 세상의 일이나 자신의 일에 대해 가장 잘 대처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긴 긍정적인 생각이 바른 말과 행동으로 이어지고 이런 바른 습관은 좋은 성격이 되어 자신의 운명을 행복하게 바꿉니다.
그러려면 항상 명상을 해서 현재에 깨어있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항상 현재 자신의 몸과 마음을 알아차리십시오. 그러면 숨도 들어왔다 나가고, 괴로운 느낌도 일어났다 사라지고, 즐거운 생각들도 괴로운 생각들도 일어났다 사라집니다.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도 욕심도 성냄도 모두 일어났다 사라지고 근심 걱정하는 마음도 일어났다 사라집니다.
그래서 이 세상의 그 무엇도 붙잡을 수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사실 이 세상의 어떤 일도 붙잡고 걱정할 일은 없습니다. 모두 스쳐 지나가는 바람처럼 잠시 왔다 가는 것입니다. 모두 저 스스로 올만해서 왔다가 가는데 우리는 이것을 있는 그대로 구경하지 못하고 붙잡고 문제를 삼아서 오히려 괴롭습니다. 이것이 어리석음입니다.
그냥 알아차림으로 깨어서 법들이 오고 가는 것을 구경하십시오. 우리는 다만 현재를 알아차리고 그 알아차림을 이어갈 뿐입니다. 그러면 편안한 마음에서 생긴 지혜가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길로 인도합니다.
출처 :상좌불교 한국 명상원 원문보기▶ 글쓴이 : 해맑은
'담마(논) > 담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과 자식농사 (0) | 2012.12.03 |
---|---|
업과 윤회 (0) | 2012.12.03 |
슬픔의 뒤안길서 만나는 기쁨 (0) | 2012.12.03 |
수다원 되는 조건 (0) | 2012.12.03 |
세상은 계속 변하므로 붙잡을 수 없습니다 (0) | 2012.12.03 |